진리의 실천 도량 달마사
사찰안내도
전각별 설명

일주문
달마사는 별도의 사천왕문 없이 위쪽에는 누각이 위치해 있다.

자인당
자인당은 회주스님의 법호를 딴 당호이다. 스님과 사찰종무원의 거주공간이다.

사운당
사운당은 사방에서 인연들이 모여든다는 의미의 스님들 전용 거주공간이다.

자하루
자하루는 이 누각에서 바라보는 저녁노을이 너무나 아름다워 마치 부처님의 후광을 보는듯한 느낌을 받는다. 그래서 부처님 몸의 빛(광명)을 상징하는 紫蝦(자하)를 붙여서 자하루라 하였다.

대웅전
대웅전은 중창불사를 통하여 2016년 완공된 달마사의 중심 기도공간이다.

극락전
극락전은 원래 1968년부터 대웅전으로 사용되어오던 전각이었으나, 2016년 새로운 대웅전이 건립되면서 먼저가신 가족의 극락왕생을 발원하는 재를 봉행하는 극락전으로 전환되었다.

소림굴(영천)
자연이 만들어 놓은 마르지 않는 샘이며, 마치 번뇌의 고통 속에서 부처님의 가르침을 갈망하는 자에게 감로수와 같은 곳이다. 용왕님이 살고 있는 영천은 우리의 민족과 함께한 민속신앙이 깃든 곳이다.

삼성각
삼성각은 1966년에 신축하여 산신, 칠성, 독성을 상징하는 삼성신앙은 재물, 수명, 복을 관장한다고 한다. 칠성신앙을 상징하는 치성광여래를 주불로 모시고, 산신과 독성을 좌우에 모시고 있다.

봉안당
2012년 4월에 영산전을 봉안당으로 조성하여 매일 사중에 퍼지는 기도소리를 들으며 극락왕생 할 수 있는 사후세계의 편안한 안식처이다.

미륵부처님
대웅전 오른쪽에 계시는 미륵부처님은 2013년 8월에 조성하였다. 미륵불의 출현은 국토의 풍요로움과 안락함으로 중생의 죄악과 업장과 번뇌의 장애를 끊고 자비심을 닦아서 미륵불의 국토에 나도록 하자는 데 그 깊은 진의가 있다.

석조관세음보살님
삼성각 뒤쪽에 위치해 있으며 1971년 9월에 조성하였다. 지혜와 자비가 한량없으신 관세음보살님 옆에는 인등이 위치해 있어 많은 이들이 간절한 발원을 이루는 곳이다.

아미타부처님
달마사 뒷산 언덕위에 있는 거북바위에 위치한 아미타부처님은 미륵부처님과 함께 2013년 8월에 조성되었다. 극락세계를 주재하는 부처님으로 열반에 들지 않고 영원토록 중생을 교화하는 분이다.

거북바위
서달산 정상에 위치한 거북바위는 수 천년을 우리 삶과 함께 한 거북 신앙이다. 천연 암석이 한강을 굽어 바라보는 형성으로 일년에 두 번씩 한강에 나아가 목욕을 한다는 설화가 전해온다.

마애존불상
정돈되지 않는 자연 그대로의 미소를 지니고 있다. 정확한 발생연도는 알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