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9재
49재는 돌아가신 영가에게 덕높은 스님을 모시고 여러 가지 공양을 베풀고 법을 설하여 영가가 깨침을 얻고 극락왕생토록 하는 불교의식입니다. 영가가 돌아가신 날로 부터 칠일 째 되는 날에 초재를 올리게 되는데 그것을 7일마다 일곱 번 올린다 하여 사십구재라고 합니다. 사람이 죽으면 7일마다 일곱 번에 걸쳐 명부시왕들의 심판을 받는데 마지막 49일째에 염라대왕에게 최종심판을 받아야 지옥에 갈지 극락에 갈지 결정된다합니다. 그래서 7일마다 한 번씩 일곱 번의 재롤 올립니다.
달마사에서는 상주의 요청에 따라 임종 후 발인까지 영가를 위한 의식, 장례식 후 사찰에서 영가의 영정과 위패를 모시고 반혼재(返魂齋)를 모십니다. 또한 달마사 납골당인 봉안당에 안치하여 부처님 곁에서 편안한 사후를 보낼 수 있습니다. 사후세계의 심판관인 10명의 시왕에게 망자의 죄업을 사하기 위해 돌아가신 지 100일 되는 날 재를 올리며, 이를 백재(百齋)라고 합니다.
천도재
천도재는 조상님들 또는 인연 있는 영가를 천도하여 극락왕생토록 하기 위해 드리는 불교의식입니다. 사십구재를 올려주지 못한 영가, 갑자기 사고를 당한 영가, 조상님들의 극락왕생, 집안의 액난이 있을 경우, 혹은 큰 일을 앞두고 무사무탈을 기원하기 위해 천도재를 올립니다.
기제
선망조상이나 먼저 가신 가족 친지를 위하여 영가의 제사일에 재공양을 올리는 의식을 말합니다.
생신제 및 사갑제
영가가 돌아가신 후 생일을 맞거나 회갑 또는 칠순, 팔순을 맞았을 때 올리는 재를 말합니다.
설차례 및 추석차례
민족의 명절인 설 및 추석을 맞아 부처님께 공양을 올리고, 유주무주 선망부모 조상님께 지극한 마음으로 상을 차려 합동차례 또는 단독차례로 정성껏 모셔 조상님들의 음덕을 기리고 극락왕생을 발원드립니다.
영구위패
영가의 두터운 업장을 소멸하고, 부처님 곁에서 극락왕생할 수 있도록 위패를 봉안하는 것을 말합니다.